트로핌 리센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로핌 리센코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농학자로, 독자적인 유전학설을 주장하며 소련 농업에 큰 영향력을 미쳤다. 그는 스탈린의 지지를 받아 소련 과학 아카데미 유전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정통 유전학자들을 탄압했지만, 스탈린 사후 영향력이 감소했다. 리센코는 춘화처리 등 농법을 제창했으나, 과학적 검증 부족으로 소련 농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의 이론은 2000년대 이후 후성유전학의 발전과 함께 일부 재평가되기도 하지만, 사이비 과학이라는 비판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생물학자 - 테오도시우스 도브잔스키
테오도시우스 도브잔스키는 러시아 제국 출신의 미국 진화 생물학자이자 유전학자로서, 초파리 유전학 연구를 통해 진화생물학 발전에 기여하고, 저서 《유전학과 종의 기원》을 통해 현대 진화 종합의 초석을 다졌다. - 소련의 농학자 - 니콜라이 바빌로프
니콜라이 바빌로프는 러시아의 식물학자이자 유전학자로, 재배 식물의 기원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으나 트로핌 리센코와의 갈등으로 스탈린 정권 하에서 탄압받아 사망 후 명예를 회복했으며, 그의 업적은 현재까지도 식물 유전학 및 작물 연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트로핌 리센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트로핌 데니소비치 리센코 |
로마자 표기 | Trofim Denisovich Lysenko |
출생 | 1898년 9월 29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폴타바 현 칼리우카 (현재 우크라이나 폴타바 주 칼리우카) |
사망 | 1976년 11월 20일 |
사망지 |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모스크바 |
국적 | 소비에트 연방 |
연구 분야 | |
분야 | 생물학 농학 |
근무 기관 | 소련 과학 아카데미 |
모교 | 키예프 농업 연구소 (1925년) |
기타 모교 | (1921년) |
주목할 만한 학생 | , |
주요 업적 | 리센코주의 멘델 유전 부정 춘화처리 |
수상 | |
훈장 | 사회주의 노동 영웅 레닌 훈장 (8회) 노동 용맹 메달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 탄생 100주년 기념 메달 1941–1945년 대조국 전쟁 용맹 노동 메달 모스크바 800주년 기념 메달 스탈린 상 (3회) |
관련 인물 | |
영향 받은 인물 | 이반 미추린 |
기타 정보 | |
![]() |
2. 생애
우크라이나 폴타바주 카르로프카-콘스탄티노그라드에서 중농의 아들로 태어난 트로핌 리센코는 의무 교육을 마친 후 1925년 키예프 원예 전문학교를 졸업하고 키로바바드의 육종 시험장에 부임했다. 여기서 식물 발생 연구를 수행했으며, 1929년 오데사의 선택 유전 연구소로 옮겨가 독자적인 유전학설을 주장했다. 이 학설은 스탈린의 지지를 받아 급격히 세력을 확장했다. 1936년부터 소장을 맡아 정통파 유전학자들과 격렬한 논쟁을 벌였으나, 1939년 소련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 같은 해 토론회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1940년부터 1965년까지 소련 과학 아카데미 유전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패배한 정통파 유전학자들은 체포, 추방되거나 전향을 강요당했다. 그가 제창하고 실천한 농법은 소련 농업을 황폐화시켰지만, 그 실상은 은폐되었다.[76]
리센코의 반유전학 캠페인(리센코 논쟁)은 스탈린 격하 운동에 따라 수그러들었지만, 흐루쇼프를 포섭하여 반격을 시도했다. 1965년 흐루쇼프 해임 후 리센코는 과학 아카데미 유전학 연구소 소장직을 잃었으나, 유전학 연구소에서 연구실을 이끌도록 허락받았다. 리센코의 언행과 수법, 아이디어를 이해했던 소련 집단농장에서 그의 인기는 확고부동했다(그의 업적을 부정하면 그동안 옹호해 왔던 국가 권력의 위신을 손상시키기 때문).[76] 리센코는 1976년 모스크바에서 사망하여 쿤체보 묘지에 매장되었다.[77]
그는 생애 동안 사회주의 노동 영웅 훈장, 레닌 훈장 8회(1935년, 1945년 2회, 1948년, 1949년, 1953년, 1958년, 1961년)[78], 스탈린상 3회(1941년, 1943년, 1949년)를 수상했다.
2. 1. 초기 생애와 학업
트로핌 리센코는 1898년 9월 29일 우크라이나 폴타바주 카를리우카 마을의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7][8] 13세가 되어서야 글을 읽고 쓸 수 있게 되었으며,[9] 1913년 2년제 농촌 학교를 졸업한 후 폴타바 원예 학교에 입학했다. 1917년에는 우만의 중등 원예 학교에 입학하여 1921년에 졸업했다.[8][10]1922년, 리센코는 키예프 농업 연구소(현재 우크라이나 국립 생명 환경 과학 대학교)에 입학했다.[2] 그는 학업 기간 동안 벨로체르코프스크 실험장에서 원예 식물 육종가로 일했다. 1923년에는 첫 번째 과학 논문인 "벨로체르코프스카야 선발국에서의 토마토 선발 기술과 방법"과 "사탕무 접목"을 발표했다.[8] 1925년 농학 학위를 받고 이 연구소를 졸업했다.[2]
2. 2. 아제르바이잔에서의 연구
1925년 10월, 리센코는 아제르바이잔 간자시의 육종 연구소에 파견되었다.[8] 이 연구소는 니콜라이 바빌로프가 소장을 맡고 있던 전 연방 응용 식물 및 신작물 연구소(현재 식물 산업 연구소)의 일부였다.[2] 당시 연구소장이자 농업 분야의 수학적 통계 전문가였던 니콜라이 데레비츠키는 리센코에게 봄철 가축 기아 문제를 해결하고, 봄 경작 시 토양 비옥도를 높일 수 있는 도입종 콩과 식물(루핀, 클로버, 개량 완두, 겨이삭)을 아제르바이잔에 도입하는 임무를 맡겼다.[2] 바빌로프는 겨울 밀을 봄 밀로 바꾸는 실험을 수행했고, 처음에는 리센코를 지지하며 그의 연구를 격려했다.[11]리센코는 혹독한 겨울을 견디며 완두, 밀 등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려 했으나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성공을 발표하면서 비료나 광물을 사용하지 않고 밭을 비옥하게 하는 방법을 발견했고, 아제르바이잔에서 완두의 겨울 작물을 재배하여 "트란스 코카서스의 황량한 들판을 겨울에 푸르게 만들어 가축이 부실한 먹이로 죽지 않고, 농부 투르크인이 내일을 걱정하지 않고 겨울을 넘길 수 있게 되었다"고 주장하며 소련 신문 ''프라우다''의 칭찬을 받았다.[12]
간자에서 리센코는 목화, 밀, 호밀, 귀리, 보리 등 농작물의 생육 기간을 연구했다. 2년간 곡물, 목화 및 기타 식물의 파종 시기를 10일 간격으로 달리하는 실험을 진행했고, 1928년 그 결과를 담은 "식물 발달 단계의 지속 시간에 미치는 열적 요인의 영향"이라는 책을 출판했다.[8] 이 책의 169페이지 중 110페이지는 기본 데이터 표로 구성되었다.[2]
리센코는 다양한 밀 작물을 계절에 따라 재배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연구를 했고, 식물 성장에 미치는 열의 영향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는 모든 식물이 일생 동안 일정량의 열을 필요로 한다고 믿었고, 특정 식물이 발달 단계를 거치는 데 필요한 시간과 열의 양을 연결하려 했다. 성장량, 경과일수, 그날의 온도를 통해 데이터를 얻었지만, 통계적 분석에서 실수를 저질렀다. 열대 식물 발달 전문가 니콜라이 막시모프와 대립했고, 어떤 비판도 수용하지 않았다. 이 만남 이후 리센코는 수학이 생물학에 설 자리가 없다고 주장했다.[12]
기근과 강제 집단화로 인한 작물 실패, 생산성 손실을 겪던 1930년대 초, 리센코의 작물 수확량 향상 실험 연구는 소련 지도자 이오시프 스탈린의 지지를 얻었다.
리센코는 겨울 밀을 봄 밀로 전환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1927년 시작하여 1928년 발표한 춘화 처리에 대한 연구는 소비에트 농업에 대한 잠재적 실용성 때문에 널리 주목받았다. 혹독한 추위와 눈 부족으로 많은 초기 겨울 밀 묘목이 파괴되었는데, 리센코는 밀 종자에 수분과 추위를 처리하여 봄 파종 시 작물을 맺도록 유도했다. 그는 이 과정을 "야로비제이션"(яровизация, 겨울 곡물이 봄 곡물처럼 행동하게 하는 것, 봄 곡물은 러시아어로 ''야로보예'')이라 불렀다. 그러나 이 방법은 1800년대부터 알려져 있었고, 구스타프 가스너가 1918년 자세히 논의했다. 리센코는 야로비제이션을 "춘화 처리"(라틴어 ''vernum''에서 유래)로 번역했다.[13][14] 그는 춘화 처리된 변화가 유전될 수 있다고 믿었다.[15]
2. 3. 오데사에서의 연구와 유전학자들과의 갈등
1929년 10월, 리센코는 우크라이나 인민 위원회의 초청을 받아 오데사로 가서, 새로 설립된 육종 및 유전학 연구소(이후 전연방 육종 및 유전학 연구소, VSGI)에서 식물 춘화 처리 연구소를 이끌게 되었다.[2][8] 1936년 4월 17일, VSGI의 소장으로 임명되었다.[8]1936년 8월, 옴스크에서 열린 전연방 농업 과학 아카데미의 곡물 분과 방문 회의에서 리센코는 "자가 수분 식물의 품종 내 교배에 관하여"라는 보고서를 발표하여 바빌로프 및 다른 유전학자들과 논쟁을 벌였다. 리센코는 이 논쟁에서 반대자들의 일반적인 이론적 견해와 육종 작업에서의 실질적인 적용을 모두 부정했다.[18]
1936년 12월 23일, 전러시아 농업 과학 아카데미 제4차 회의에서 이 논쟁이 이어졌다. 리센코는 "유전학의 두 방향"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삭 프레젠트와 함께 찰스 다윈과 클리멘트 티미랴제프가 언급한 자가 수분 식물의 퇴화 문제와 식물의 품종 내 교차 수분의 유용성을 언급했다.[8]
1937년 봄, 리센코가 창간하고 편집한 잡지 ''야로비자치야'' 2호에 야코프 야코블레프의 연설문이 게재되어 바빌로프의 식물 변이 상동 계열 이론과 유전의 염색체 이론을 날카롭게 비판했다. 소련 유전학에 대한 과학적 논쟁은 "인민의 적"에 대한 정치적 투쟁으로 변질되었다. ''야로비자치야'' 3호에는 프레젠트가 고전 학파 유전학자들이 트로츠키주의자-부하린주의자 반대파를 지지한다고 비난하는 기사가 실렸다. 1937년 모스크바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제7차 국제 유전학 회의는 취소되었고, 1939년 에든버러에서 열렸다.
1938년 1월 11일, 신문 ''소츠젬레델리에''는 "농업 과학 아카데미 개선: 과학 기관에서 적들과 그들의 엉덩이를 무자비하게 뿌리 뽑아라"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하여 바빌로프를 인민의 적들의 공범으로 지목했다.
1938년, 리센코는 전연방 농업 과학 아카데미의 회장이 되었다. 1939년 초, ''야로비자치야''에 프레젠트가 바빌로프의 연구를 반마르크스주의 철학자 오이겐 듀링의 연구와 비교한 "의사 과학 이론과 유전학에 관하여"라는 기사가 게재되었다. 같은 해, 잡지 ''포드 즈나메넴 마르크시즈마''에서 유전학 토론이 개최되었고, 토론 주최자인 철학자 마르크 미틴은 바빌로프의 활동을 날카롭게 비판했다.
1940년 중반, 리센코의 지시에 따라 NKVD 직원 S. N. 슌덴코가 전연방 식물 산업 연구소 부소장으로 임명되었음에도 바빌로프는 강력히 반대하며 연구소 직원들에 대한 고발장을 썼다. 1940년 8월, 바빌로프가 체포된 후, 게오르기 카르페첸코, 그리고리 레비츠키 등 바빌로프의 직원 및 친구들이 체포되어 구금 중 사망했다.
2. 4. 스탈린 시대의 권력과 영향력
스탈린과의 긴밀한 관계를 통해 리센코는 20세기 초중반 소련 유전학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1940년, 리센코는 소련 과학 아카데미 유전학 연구소 소장이 되어 유전학에 대한 통제권을 더욱 강화했다.[28]1930년대와 40년대 동안, 전(全)소련 농업과학 아카데미(VASKhNIL)는 리센코주의자와 유전학자 사이의 논쟁의 장이었다. 1948년 8월 7일, 리센코가 조직하고 스탈린이 승인한 회의 이후, VASKhNIL은 리센코주의가 "유일한 올바른 이론"으로 가르쳐질 것이라고 발표했다. 소련 과학자들은 리센코의 이론과 모순되는 모든 연구를 비난해야 했다.[76]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리센코의 이론을 비난하지 않은 여러 유전학자들은 처형되거나(이자라엘 아골, 솔로몬 레비트, 그리고리 레비츠키, 게오르기 카르페첸코, 게오르기 나드손 포함) 노동 수용소로 보내졌다. 리센코의 저명한 비평가이자 농업 아카데미 회장이었던 니콜라이 바빌로프는 1940년에 체포되어 1943년 감옥에서 사망했다.[76] 샘 킨에 따르면, "리센코는 (소련의 유전학을) 붕괴시켰고, 어떤 설명에 따르면 러시아 생물학과 농업을 반세기나 뒤로 물러나게 했다".[76]
2.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리센코는 곡물 및 감자 작물을 위한 농업 기술 연구를 계속했다.[21] 1943년 3월 22일, 스탈린상 1급을 수상했다.[8] 1945년 6월 10일에는 농업 과학 발전과 감자, 수수 생산성 증대에 대한 공로로 사회주의 노동 영웅 칭호와 레닌 훈장을 받았다.[8]
1948년 7월 31일부터 8월 7일까지 전러시아 농업 과학 아카데미 (VASKhNIL)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에서 리센코는 유전학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고, 반대자들에게는 정치적인 발언을 했다.[61] 이 회의를 통해 리센코주의가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2. 6. 스탈린 사후와 몰락
1953년 스탈린 사망 이후, 리센코의 영향력은 감소하기 시작했다.[44] 니키타 흐루쇼프의 지원으로 자리를 유지했지만, 주류 과학자들이 다시 등장하면서 1920년대 후반 이후 처음으로 리센코에 대한 비판이 소련 정부 지도부 내에서 용인되기 시작했다. 1962년, 소련의 저명한 물리학자 야코프 젤도비치, 비탈리 긴즈버그, 표트르 카피차는 리센코의 연구를 유사과학이라고 비판하며, 그가 정치 권력을 이용하여 반대자를 제거했다고 비난했다.[45]1964년, 물리학자 안드레이 사하로프는 소련 과학 아카데미 총회에서 리센코를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
1965년, 리센코는 과학 아카데미의 유전학 연구소장 자리에서 해임되었고, 모스크바의 레닌 언덕에 있는 실험 농장으로 좌천되었다.[46][47] 리센코가 생물학과 농학에 대한 독점권을 잃은 후, 이 과학들이 러시아에서 회복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다. 리센코는 1976년 모스크바에서 사망하여 쿤체보 묘지에 안장되었다.[49]
3. 리센코주의
리센코주의는 멘델 유전학을 부정하고 획득형질 유전 이론을 바탕으로 한 리센코의 독자적인 유전학 이론이다. 리센코는 다윈의 범생설과 유사하게 신체가 유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으며, 멘델 유전 이론을 "미추린 유전학"이라 칭하며 부정했다. 유전자의 존재를 부정하고, 생명체는 유전을 획득하며 신체의 전체가 유전 정보를 전달한다고 믿었다.[12] 종 내, 종 간의 상호 원조를 주장하였고, 더 많은 우유를 얻는 것은 소의 취급에 달려있다고 보았다.[57] 야로비 농법, 면화 순지르기, 여름에 감자 심기 등 몇 가지 농법을 제창하고 장려했다.[79] 올가 레페신스카야의 비세포 물질에서 세포를 만들 수 있다는 주장에 관심을 가졌다.[12]
3. 1. 주요 내용
2007년 이후 발전하기 시작한 후성유전학이 2010년대에 과학적 타당성을 확증하면서 리센코의 유전학 이론 일부는 재평가되고 있다. 후성유전학에 따르면 DNA 메틸화에 따라 염색질(chromatin) 구조가 변형되면서 획득형질이 유전될 수 있다. 2019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도마뱀 연구로 '볼드윈 효과'가 입증되면서 표현형뿐만 아니라 선택압에 의해 개체의 유전형도 변형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89]이 최신 학설에 따르면 리센코의 유전학 이론은 형질 변형에 관계하는 시간적 계기를 잘못 파악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을지언정, 완전히 사이비 과학이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의 연구 내용은 현대 후성유전학과 볼드윈 효과에서 사회적 맥락(선택압)이 형질을 변화시키는 원리와 본질적 차이점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구 단계를 넘어 정밀한 검증도 없이 생존에 필수적인 농업 정책에 적용하려 한 부분은 전형적인 사이비 과학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리센코는 자신의 논리에 따라 멘델 유전 이론을 거부하고, 이를 "미추린 유전학"이라고 불렀다. 그는 그레고어 멘델의 이론을 지나치게 반동적이거나 관념적이라고 생각했다. 리센코의 아이디어는 자신의 생각, 러시아 농학자 이반 미추린, 그리고 다른 소련 과학자들의 생각을 혼합한 것이었다.[53] 이러한 아이디어를 혼합하여 리센코는 "미추린 교리"를 창시했다.[53]
리센코는 유전자를 믿지 않았고,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하기 위해서만 그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는 대신 일단 살아있는 신체는 유전을 얻는다고 믿었다. 즉, 신체의 전체가 그 유기체의 유전 정보를 전달할 수 있었으며, DNA나 유전자와 같은 특별한 요소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았다.[12]
리센코는 종 내의 개체들 간에 경쟁뿐만 아니라 상호 원조가 있으며, 다른 종들 사이에도 상호 원조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리센코의 또 다른 이론은 암소로부터 더 많은 우유를 얻는 것이 유전학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취급되었는지에 달려 있다는 것이었다. 리센코와 그의 추종자들은 가축을 매우 잘 돌보는 것으로 유명했다.[57] 리센코는 뻐꾸기가 굴뚝새와 같은 어린 새가 부모(숙주) 새에 의해 털이 많은 애벌레를 먹였을 때 태어난다고 주장했다. 리센코주의자들은 수정이 무작위가 아니라 최고의 짝을 특별히 선택한다고 믿었다. 이러한 이유로 리센코주의는 유사 과학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리센코는 난황과 비세포 물질로부터 세포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는 올가 레페신스카야의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저온이 식물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제는 게오르크 퀠스와 구스타프 가스너와 같은 유명한 생리학자들에 의해 언급되었다. 예를 들어, 가스너는 실험을 바탕으로 겨울 작물의 발아된 씨앗을 저온에 노출시키면 봄 파종 시 이 씨앗에서 자란 식물이 분열된다는 것을 밝혀냈다.[58]
간자 육종 연구소에서 일하면서 리센코 역시 식물의 발달을 가속화할 수 있었다. 그는 실험을 바탕으로 파종 전에 저온에서 씨앗을 발아시키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이를 춘화처리라고 명명했다.[58] 이 기술은 1930년대 초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예를 들어, 니콜라이 바빌로프는 춘화처리의 주요 장점을 육종 작업의 단순화 가능성뿐만 아니라 식물의 생육 기간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바빌로프는 결국 춘화처리가 예상한 결과를 내지 못했기 때문에 춘화처리의 사용에 대한 지지를 중단했다.[2]
춘화 처리된 씨앗을 사용한 작물은 소련 농장에서 매년 증가했다. 특히 1935년에는 4만 개 이상의 집단 농장과 국영 농장에서 210만 헥타르 면적에 봄 곡물의 춘화 처리 시험 재배가 이루어졌으며,[58] 1937년에는 890만 헥타르에 달했다.[59] 그러나 춘화처리의 대규모 도입은 소련 농업에서 실패로 끝났다.[2]
농학자로서 리센코는 몇 가지 농법(야로비 농법, 면화 순지르기, 여름에 감자 심기)을 제창하고 장려했다. 야로비자치야(춘화처리) 자체는 특정 품종에 대해 효과가 있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 인정되어 '버날리제이션'으로 일반화되었고, 원예 용어 중 하나가 되었다.[79] 또한, 미추린의 육종법 중에서 추진된 혼합 화분 수분법, 영양 접목 잡종법은 적극적인 의미를 갖는 것으로 여겨져, 현재도 무시할 수 없는 농업 기술로 알려져 있다.
리센코에게 이의를 제기하는 과학자들은 농학 기술상의 이론적 결점을 지적하고, 그가 과학의 일반적인 수법을 따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80]
참조
[1]
논문
The destructive role of Trofim Lysenko in Russian Science
2019-09
[2]
웹사이트
Валерий Сойфер
http://www.pereplet.[...]
1931-05-15
[3]
간행물
Suicide by pseudoscience
https://www.wired.co[...]
2004-06
[4]
논문
How Lysenkoism became pseudoscience: Dobzhansky to Velikovsky
[5]
논문
The Rise and Fall of Lysenko
1965
[6]
웹사이트
Yongsheng Liu «Lysenko's Contributions to Biology and His Tragedies», 2004
http://imichurin.nar[...]
2011-04-30
[7]
웹사이트
Лысенко Трофим Денисович
https://warheroes.ru[...]
2019-10-24
[8]
웹사이트
Lysenko
http://www.ihst.ru/p[...]
2007-03-08
[9]
웹사이트
"«The Lysenko effect: undermining the autonomy of science"
http://lysvav.narod.[...]
2014-02-03
[10]
웹사이트
Лысенко Трофим Денисович
https://www.biografi[...]
2015-09-23
[11]
논문
The conversion of spring wheat into winter wheat and vice versa: False claim or Lamarckian inheritance?
[12]
서적
1986
[13]
서적
Moscow Stories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2006
[14]
논문
Vernalization and its relations to dormancy
1960
[15]
논문
Vernalization, competence, and the epigenetic memory of winter
2004
[16]
웹사이트
Н. И. Вавилов и Т. Д. Лысенко в пространстве историко-научных дискуссий • Библиотека
https://elementy.ru/[...]
[17]
웹사이트
Из итогов работы 1934 года
https://imichurin.na[...]
[18]
웹사이트
Т.Д.Лысенко «О внутрисортовом скрещивании растений самоопылителей», 1936 г.
https://lysenkoism.n[...]
2012-11-20
[19]
웹사이트
Т.Д.Лысенко «Ближайшие задачи советской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науки», 1942 г.
https://lysenkoism.n[...]
[20]
논문
The Great Stalin Plan for the Transformation of Nature
https://www.journals[...]
2010-10-01
[21]
웹사이트
Сроку давности не подлежит
http://www.molodguar[...]
2009-07-13
[22]
웹사이트
Т.Д.Лысенко «Ближайшие задачи советской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науки», 1942 г.
https://lysenkoism.n[...]
2009-10-24
[23]
웹사이트
Генетика (БСЭ)
https://lysenkoism.n[...]
2007-03-19
[24]
웹사이트
1948. Письмо Лысенко Сталину и Жданову / Письмо Лысенко Бенедиктову
https://lysenkoism.n[...]
[25]
서적
Science and Philosophy in the Soviet Union
Knopf
[26]
서적
Stalin's Peasants: Resistance and Survival in the Russian Village after Collectiv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Stalinist Sci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서적
Science in Russia and the Soviet Union
Press Syndicate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1993
[29]
논문
C. D. Darlington and the British and American Reaction to Lysenko and the Soviet Conception of Science
2003
[30]
논문
Lysenkoism Against Genetics: The Meeting of the Lenin All-Union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of August 1948, Its Background, Causes, and Aftermath
[31]
논문
Science and Politics in the U.S.S.R.: The Genetics Debate
1951-07
[32]
논문
Nikolai Ivanovich Vavilov: the explorer and plant collector
1991
[33]
서적
Principles of Evolutionary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34]
뉴스
The Soviet Era's Deadliest Scientist Is Regaining Popularity in Russia
https://www.theatlan[...]
2017-12-19
[35]
논문
China's great famine: 40 years later
1999-12-18
[36]
논문
Making Famine History
[37]
논문
The Institutional Causes of China's Great Famine, 1959–1961
https://www0.gsb.col[...]
2020-04-22
[38]
논문
Famines
https://ourworldinda[...]
2020-04-22
[39]
웹사이트
Mao's Great Famine: Ways of Living, Ways of Dying
http://www.dartmouth[...]
Dartmouth University
2021-11-23
[40]
뉴스
China's Great Famine: the true story
https://www.theguard[...]
2020-04-22
[41]
웹사이트
China's Great Famine: A mission to expose the truth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0-04-22
[42]
웹사이트
Charted: China's Great Famine, according to Yang Jisheng, a journalist who lived through it
https://qz.com/63345[...]
2020-04-22
[43]
논문
Japanese Lysenkoists after Lysenko's Downfall
https://researchmap.[...]
[44]
간행물
Lysenko, Trofim Denisovich
http://www.britannic[...]
2014-01-26
[45]
웹사이트
Biography of Andrei Sakharov, dissent period
http://www.learntoqu[...]
2011-05-21
[46]
논문
The descent of Lysenko
http://jhered.oxford[...]
[47]
논문
The demise of Lysenko
http://jhered.oxford[...]
[48]
웹사이트
Trofim Denisovich Lysenko Facts
http://biography.you[...]
LoveToKnow Corp.
2014-04-20
[49]
서적
The Lysenko Controversy as a Global Phenomenon, Volume 1
Springer
[50]
뉴스
Russian Biologist Dead at 78
Beaver County Times
1976-11-24
[51]
뉴스
‘Soviet Biologist Lysenko Dies in Obscurity’
Pittsburgh Post-Gazette
1976-11-24
[52]
논문
The History and Reception of Charles Darwin's Hypothesis of Pangenesis
2014
[53]
논문
Lysenko's contributions to biology and his tragedies
https://pubmed.ncbi.[...]
2004
[54]
논문
Genetics: Lysenko versus Mendel
[55]
서적
What Have We Learned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from the Russian Experienc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8
[56]
웹사이트
Soviet Biology
http://www.marxists.[...]
[57]
서적
Moscow Stories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2006
[58]
웹사이트
11 Онтогенез растений
http://afonin-59-bio[...]
2024-05-11
[59]
웹사이트
Т. Д. Лысенко «Агробиология»
https://imichurin.na[...]
2024-05-11
[60]
웹사이트
Лысенко Трофим Денисович
https://www.biografi[...]
2024-05-13
[61]
웹사이트
Сессия ВАСХНИЛ-1948. О положении в биологической науке (стенографический отчeт)
http://www.lib.ru/DI[...]
2024-05-13
[62]
웹사이트
Т. Д. Лысенко «Агробиология»
https://imichurin.na[...]
2024-05-13
[63]
웹사이트
газета "Дуэль" : политика экономика Россия поединок история цензура демократия борьба общество идея
http://www.duel.ru/1[...]
2024-05-13
[64]
웹사이트
Т.Д.Лысенко «Ближайшие задачи советской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науки», 1942 г.
https://lysenkoism.n[...]
2024-05-13
[65]
웹사이트
VIVOS VOCO: Ю.Н. Вавилов, "Август 1948. Предыстория"
http://vivovoco.astr[...]
2024-05-13
[66]
웹사이트
Вестник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том 68, № 12
http://www.ras.ru/FS[...]
2024-05-13
[67]
문서
Ордена Советских республик
Донецк, РИП «Лебедь»
1996
[68]
웹사이트
А вы знаете, где улица Эйзенаха? Возможно, единственная в мире
https://krasnoturins[...]
2024-05-14
[69]
문서
OFF-LINE интервью с Борисом Стругацким
http://www.rusf.ru/a[...]
[70]
웹사이트
The Soviet Era's Deadliest Scientist Is Regaining Popularity in Russia
https://www.theatlan[...]
[71]
백과사전
ルイセンコ Lysenko,Trofim Denisovich
https://kotobank.jp/[...]
[72]
문서
"'''トロヒーム・デニーソヴィチ・ルィーセンコ'''"
[73]
문서
"'''トラフィーム・ジニーサヴィチュ・ルィシェーンカ'''"
[74]
웹사이트
Лысенко Трофим Денисович
http://slovari.yande[...]
[75]
간행물
Yongsheng Liu ≪Lysenko’s Contributions to Biology and His Tragedies≫ //Rivista di Biologia / Biology Forum 97 (2004), pp. 483-498.
http://imichurin.nar[...]
[76]
웹사이트
Trofim Denisovich Lysenko Facts Facts
http://biography.you[...]
LoveToKnow, Corp
2014-07-09
[77]
웹사이트
Trofim Denisovich Lysenko
https://www.findagra[...]
2014-04-20
[78]
웹사이트
Герои страны
http://www.warheroes[...]
[79]
웹사이트
園芸用語集 | は- タキイ種苗
http://www.takii.co.[...]
[80]
PDF
К 50-летию ≪Письма трёхсот≫
http://www.bionet.ns[...]
[81]
서적
Любищев А. А. О Монополии Лысенко в Биологии - М.: Памятник Исторической Мысли, 2006.
[82]
웹사이트
Василий Леонов ≪Долгое прощание с лысенковщиной≫
http://www.biometric[...]
[83]
웹사이트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http://bse.sci-lib.c[...]
[84]
웹사이트
О работах действительного члена Академии Медицинских Наук СССР О. Б. Лепешинской
http://lysenkoism.na[...]
Т. Д. Лысенко
[85]
웹사이트
А. Е. Гайсинович, Е. Б. Музрукова ≪„Учение“ О. Б. Лепешинской о „живом веществе“≫
http://www.ihst.ru/p[...]
[86]
웹사이트
В. Я. Александров ≪Трудные годы советской биологии≫
http://vivovoco.rsl.[...]
[87]
웹사이트
≪Живое вещество≫ и его конец. Открытие О. Б. Лепешинской и его судьба
http://berkovich-zam[...]
Яков Рапопорт.
[88]
웹사이트
Biography of Andrei Sakharov, dissent period
http://www.learntoqu[...]
Norman L., Qing Ni Li, Yuan Jian Li, The Seevak Website Competition
[89]
뉴스
https://www.resear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